2025/07/04 3

[기후 위기]부산 기온 상승과 도시 열섬 – 항만 도시의 열 분포 구조 변화

2024년 여름, 부산시는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평균기온과 폭염일 수를 기록했다. 7월 평균기온은 29.6도, 열대야 일수는 23일을 기록하며 10년 전보다 1.8도 상승한 수치를 보였고, 부산항 인근과 도심 고밀도 지역은 체감온도가 37~40도에 달하는 극심한 더위에 시달렸다. 여기에다 새벽 시간에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으며 시민들은 “더위가 하루 종일 끊기지 않는다”라고 호소했다. 부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 도시이자 해양성 기후의 완충 효과로 인해, 과거에는 폭염보다는 고온다습한 날씨로 알려졌던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은 기후 위기와 도시구조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열섬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항만·산업지구와 도심이 인접한 지리적 특성이 열 축적과 대기 흐름 정체를..

[기후 위기]충남 서해안의 해양안개 증가 – 해양 대기 경계면 변화와 항로 안전 문제

2024년 봄과 여름 사이, 충청남도 서해안 일대에서는 유독 짙고 긴 해양안개(Marine Fog)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해상교통과 어업활동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보령, 서천, 태안, 안면도 등 주요 항구에서는 시정이 200m 미만으로 떨어지는 조밀한 해무가 일주일 이상 지속되기도 했으며, 태안 앞바다에서는 어선이 방향을 잃고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사고도 있었다.과거에는 해양안개가 주로 일출 전후 몇 시간에 머무르는 단기 현상에 그쳤지만, 최근에는 안개 발생 빈도와 지속시간이 모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2024년 상반기 충남 해역에서는 3월~6월 사이 해양안개가 발생한 날이 28일로, 평년보다 70% 이상 늘었다는 기상청 발표도 있었다. 이로 인해 해상 교통 운항 차질은 물론, 항공기 결항, ..

[기후 위기]세종시의 열섬현상 심화 – 행정중심도시의 기온 역전 현상 원인 분석

2024년 여름, 세종시는 전국에서 평균기온 상승폭이 가장 큰 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 특히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줄어들면서 열대야 일수는 20일을 넘었고, 도심 내 일부 지역은 새벽 2~3시에도 기온이 29도를 넘기는 기온 역전 현상이 관측되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설계된 세종은 친환경·저탄소 도시를 목표로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열섬현상(Urban Heat Island)의 심화가 눈에 띄게 가속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에서 흔히 발생하는 열섬현상은 건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 인공 구조물의 복사열 축적과 부족한 녹지에 의해 유발된다. 하지만 세종은 계획도시로서 비교적 녹지율이 높고, 차량 밀집도가 낮으며, 신축 건물 위주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주변 도시보다 높게 측정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