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2

[기후 위기]무주·장수 대설 빈발화 – 기후변화 속에서 눈 폭탄 지역으로의 전환 가능성 분석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는 해발 400~800m에 이르는 중산간 지대로, 겨울철 평균 기온이 낮고 강설량이 많은 지역으로 분류되어 왔다. 특히 무주는 대표적인 스키장 관광지로서 ‘눈’이 경제 자원이 되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눈 폭탄’ 현상, 즉 대설의 빈발화와 극단화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는 1년에 한두 번, 수㎝ 내외의 눈이 내리던 것이 이제는 하루에 수십 ㎝ 이상 쌓이는 폭설이 정례화되고 있으며, 12월부터 3월까지 적설 일수가 늘어나고 강설 강도도 강해지고 있다.2023년 겨울, 무주와 장수에는 하루 동안 60cm 이상의 적설이 기록된 날이 2일 이상 있었고, 다수의 학교가 임시 휴교하거나 주요 도로가 마비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단순한 겨울철 변덕이 아닌, 지구 온난화..

[기후 위기]안동·문경 가을철 가뭄 – 수자원 확보 지연과 다목적댐 운영 불안정성

경북 내륙 지역에 위치한 안동과 문경은 대표적인 다목적댐 보유 지역이자, 중부권 수자원 확보의 거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들 지역은 낙동강 상류에 위치해 상수도, 농업용수, 하천유지수 등을 관리하는 중심축으로 기능해 왔으며, 특히 안동댐과 임하댐은 중남부권 수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가을철 강수량의 극단적 감소와 함께 수문학적 이상현상이 반복되면서 안동·문경 지역은 ‘가을 가뭄의 상습화’라는 새로운 기후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2022년, 2023년에 이어 2024년 가을에도 이 지역의 9에서 11월 강수량은 평년 대비 40~60% 수준에 그쳤고, 주요 댐의 저수율은 기준치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반복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단순한 강우 부..